2025년 하반기부터 정부는 만 5세 유아에 대한 무상교육 실현을 위해 학비 추가지원을 본격 시행합니다. 교육부는 7월부터 적용되는 예비비 지출안을 발표하며,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학비를 더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하고,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정책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추가지원의 핵심은 지원 금액의 확대입니다. 사립유치원은 기존 유아학비 외에 매달 11만원이 추가 지원되며, 어린이집은 7만원이 더해집니다. 공립유치원의 경우 방과후과정비가 기존 5만원에서 7만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로써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관계없이 만 5세 유아가 고르게 혜택을 받게 됩니다.
정부는 총 128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5년 7월부터 6개월간 전국 약 27만 8000명의 만 5세 유아에게 추가 학비를 지원합니다. 이 예산은 목적 예비비에서 편성되었으며, 정책의 시급성과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해 전격 추진됐습니다.
이번 지원 정책은 '표준유아교육비'를 기반으로 설계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2025년 기준 표준유아교육비는 월 55만 7000원, 표준보육비는 월 52만 2000원입니다. 이는 유아 1명을 교육하거나 보육하는 데 필요한 최소 비용을 기준으로 산정된 것입니다.
정책 시행 이후 유형별 지원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처럼 유형 간 차이를 줄이고, 공정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유아학비 추가지원은 단순한 정부 보조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특히 사립유치원의 경우, 입학준비금이나 특별활동비 등의 기타 경비로 인해 실질적인 부담이 컸습니다. 평균적으로 매달 10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었으나, 이번 정책으로 상당한 절감 효과가 예상됩니다.
정부는 교육 접근성의 평등을 이번 정책의 핵심 가치로 강조했습니다.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가정의 아이들이 양질의 유아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의 기회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합니다. 이는 지방이나 저소득 가정의 교육 사각지대를 줄이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교육부는 이번 정책을 시작으로 무상교육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대통령 공약인 '국가책임형 영유아교육' 실현을 위한 핵심 정책이며, 보다 체계적인 보육 체계 구축을 의미합니다.
다만 무상교육 확대는 예산 확보, 인프라 구축, 교육 질 관리 등의 과제를 동반합니다. 특히 지역 간 교육 격차, 사립기관의 비용 구조 등도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하며 제도적 기반을 정비해나갈 계획입니다.
2025년 유아학비 추가지원은 대한민국 유아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입니다.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은 줄어들고, 아이들은 보다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교육의 기회 평등과 공공성 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이번 정책은, 앞으로의 보육 무상화 정책 확장에 큰 기반이 될 것입니다.
이제 유아교육은 선택이 아닌 권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교육 수준이 달라지는 구조를 개선하는 이 정책은, 한국 교육의 미래를 위한 올바른 첫 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